목록N잡 도전기/사업계획서 (23)
3번 망한 창업자의 N잡 도전

PSST의 사업계획서가 끝나고 실제로 창업진흥원 사업계획서를 제출하기까지 몇 단계가 남아있다. 사실 사업계획서 작성까지 끝나면, 대부분은 쉬운 부분이다. 나머지 항목이야 창업진흥원 회원가입 등 일반적인 절차로 진행하면 되나 합격의 당락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이 하나 있다. 그게 바로 모두들 간과하고 있지만 가장 중요한 주관기관 선택이다. (사업계획서를 이력서로 생각하면 그걸 평가하는 곳이니 가장 중요할 수밖에 없다) 1. 들어가며 주관기관과 창업진흥원의 관계에 대해선 예비 창업패키지 부분에서 설명한적이 있다. 이 글을 요약해보자면 창업진흥원을 대기업이라고 보면 주관기관은 대기업의 일을 받아서 수행하는 1차 수행업체라고 보면 된다. 모든 권한과 책임인 창업진흥원에 있지만, 수많은 기업들을 창업진흥원 혼자 평..

사업계획서 작성을 시작하며, PSST 사업계획서의 화룡정점은 요약이라고 얘기했다. 마지막 요약은 모든 항목을 작성하고 난 뒤 내 제품/서비스에 대해 한 장을 보더라도 이해할 수 있게 작성되어야 하며, 그렇기에 모든 항목에 핵심만 한 두 문장으로 언급해야 한다. 글을 써보면 알겠지만, 글을 늘리기보다 오히려 줄이는게 더 어려운 작업일 때가 많다. (마지막 요약 작성이 그래서 가장 어렵다) 사업계획서 작성 (1)_정부 지원 사업 스타트업이나 창업을 꿈꾸는 예비 창업자들에게 가장 바쁜 시기가 하나 있다. 그리고 어찌보면 예비나 초기 기업 (3년 이내 기업) 에게는 놓치지 말아야 할 시기이기도 하다. 그 시기는 바로 매 gentlenjob.tistory.com 1. 들어가며 요약본은 결국 PSST의 모든게 한눈..

대표자 현황에 이어서 PSST 사업계획서의 마지막 항목인 TEAM (팀 구성)이다 해당 부분까지 작성했다면 사업계획서의 전체적인 작성은 드디어 끝이 났다. 물론 각 항목별로 추가적인 설명을 통해서 내 사업 아이템을 최대한 구체화시키는 법 수익 모델 설정하는 법 가장 적합한 수익 시장 측정하는 법 등 등을 적을 예정이지만, 목표로 했던 PSST의 본문은 여기까지가 끝이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요약 버전까지 작성하면 제출을 위한 모든 내용의 준비가 끝나는 것이다. 1. 들어가며 팀 구성의 가장 중요한 부분은 대표자라고 얘기했다. 결국 회사를 열고 문을 닫을 사람이 대표자이니 발표 또한 대표자만 가능하고, 대표자의 역량이 잘 설명되고 제시되어야 하는 게 너무나 큰 전제조건이다. 그럼 나머지 직원 현황 및 역량..

드디어 PSST 사업계획서의 마지막 항목인 TEAM (팀 구성)이다. 정부지원 사업계획서를 작성하며, 아래의 내용들에 대해서 전부 기입했다. 1) Problem : 지금 어떤 문제가 존재하는지, 해결해야 할 문제가 무엇인지 2) Solution :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무엇인지 3) Scale up : 문제를 해결하고 나면 얼마나 커질 수 있을지 4) Team :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람들은 누구인지 https://gentlenjob.tistory.com/31 사업계획서 작성 (12)_PSST 사업계획서 정부지원 사업에 대해서도 전부 알아봤고, 본격적으로 사업계획서를 작성하려고 하면 쓰기도 전에 턱 하고 숨이 막히는 게 하나 있다. 그건 바로 "PSST" 사업계획서! 창업진흥원을 비롯한 대부분 ..

사업계획서 작성 부분이 어느덧 20개나 까지 늘어났다. 앞서 내수시장 확보 방안(시장규모)에서는 시장 규모나 수익 모델에 대한 객관적인 조사가 필수적이라고 밝혔다. 내수 시장에 대해서 작성하고 나면 다음 부분이 해외시장 진출방안이다. 해외 시장이라고 막연하고 어렵게 생각할 수 있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내수시장 확보 방안이니 대부분의 시간은 거기에 할애하고, 해외시장의 경우 작성 가능한 부분만 작성하면 된다. 1. 들어가며 해외 시장과 관련없이 국내 시장만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가 분명히 존재한다. 또한 제품/서비스의 특성으로 인해 해외 시장 자체가 적합하지 않은 사업도 다수 있다. 하지만, 우리는 모든 항목을 채워 아하며, 쓸게 없더라도 이 부분도 작성해야 한다. https://gentlenjob.tist..

성장 전략(Scale-up)은 크게 자금 소요 및 조달계획 그리고 시장 진입 및 성과창출 전략으로 나뉘며, 자금 소요 및 조달계획은 상대적으로 쉽게 작성할 수 있었다. 오늘 작성하게 될 시장 진입 및 성과창출은 정부지원 사업계획서 중에 가장 난도가 높다. 난도가 높다는 것은 단순하게 기술적인 이유에서가 아니라, 해당 부분부터는 내 제품/서비스의 필요성에 대해 객관적인 시장 조사나 분석이 필요해서이다. 그동안은 "내 서비스 좋아요! 내 제품 최고예요!"의 주관으로 흐름을 전개할 수 있었다면 시장 진입 및 성과창출은 목표로 하고 있는 시장 규모나 수익 모델에 대해서 객관적인 조사가 필수적이다. 1. 들어가며 내수시장 확보 방안의 부제는 경쟁 및 판매 가능성이다. 내수 시장을 중심으로 해 소비자층, 타겟 시장..

PSST 중 두 개를 끝내고 드디어 세 번째 S이다. 항목으로는 성장 전략(Scale-up)이며, 크게 자금 소요 및 조달계획 그리고 시장 진입 및 성과창출 전략으로 나뉜다. 자금 소요 및 조달계획은 상대적으로 쉽게 작성이 가능하니 편안한 마음으로 작성해도 된다. 다만, 다음에 나올 시장 진입 및 성과창출 부분에서 본격적인 시장 조사와 근거 마련이 필요하다. 1. 들어가며 자금 소요 및 조달 계획은 이 사업비를 받았을 때 어디에 사용할 것이고 제품/서비스를 개발함에 있어서 필요한 자금이 얼마이고, 어떤 식으로 조달할 것인지를 쓰는 것이다. 다시 한번 말하지만 정부지원 사업의 가장 큰 목표는 고용 창출이다. 사업 지원을 통한 고용 창출이 목표이므로, 자금 소요 및 조달 계획을 작성할 때도 이 점을 강조해야..

개발방안까지 썼다면 다음은 고객 요구 사항이다. 고객 요구사항이라고 적혀있으니 도대체 누가 고객이며, 누구를 대상으로 이 항목을 채워야 하는지 너무 애매하다. 우선 우리가 쓰고 있는 부분이 Solution, 즉 실현 가능성임을 잊지말자. 1. 들어가며 고객 요구사항에 대한 대응방안이라니 너무 막막하다. 제일 간단하게 내가 목표로 하고 있는 문제점에 대해서 기술했고, 내 제품/서비스로 해결까지 나왔으니 이걸 통해서 고객에게 어떠한 혜택이나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지 작성하는 것이다. 내 제품/서비스를 통해 고객의 시간을 줄여준다거나 돈을 절약해 준다거나 하는 가치를 작성한다. 그리고 해당 부분에서 반드시 필요한 것이 객관적인 근거이다. 2. 고객 요구사항에 대한 대응방안 파란색으로도 기능, 효용, 성분, 디..